2024.06.03 (월)

  • 맑음속초12.7℃
  • 맑음11.3℃
  • 맑음철원10.6℃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3.4℃
  • 맑음대관령4.5℃
  • 맑음춘천13.2℃
  • 맑음백령도15.3℃
  • 맑음북강릉12.3℃
  • 맑음강릉12.5℃
  • 맑음동해12.3℃
  • 맑음서울16.0℃
  • 맑음인천16.2℃
  • 맑음원주14.1℃
  • 구름많음울릉도14.6℃
  • 맑음수원13.7℃
  • 맑음영월12.8℃
  • 맑음충주15.1℃
  • 맑음서산13.9℃
  • 구름조금울진12.4℃
  • 맑음청주16.1℃
  • 맑음대전14.2℃
  • 맑음추풍령12.7℃
  • 구름조금안동14.1℃
  • 구름조금상주13.0℃
  • 구름많음포항16.2℃
  • 맑음군산13.5℃
  • 구름조금대구16.1℃
  • 맑음전주14.5℃
  • 구름많음울산15.6℃
  • 맑음창원15.7℃
  • 맑음광주15.5℃
  • 구름조금부산16.6℃
  • 맑음통영15.8℃
  • 박무목포16.0℃
  • 맑음여수17.0℃
  • 구름조금흑산도17.2℃
  • 맑음완도14.5℃
  • 맑음고창13.3℃
  • 맑음순천8.8℃
  • 맑음홍성(예)14.2℃
  • 맑음12.5℃
  • 구름많음제주17.9℃
  • 맑음고산18.3℃
  • 구름많음성산18.6℃
  • 구름많음서귀포20.3℃
  • 맑음진주13.7℃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3.7℃
  • 맑음이천13.6℃
  • 맑음인제11.4℃
  • 맑음홍천11.6℃
  • 맑음태백8.9℃
  • 구름많음정선군10.7℃
  • 맑음제천13.3℃
  • 맑음보은11.4℃
  • 맑음천안11.7℃
  • 맑음보령13.8℃
  • 맑음부여11.8℃
  • 맑음금산11.0℃
  • 맑음13.3℃
  • 맑음부안14.3℃
  • 맑음임실10.2℃
  • 맑음정읍12.3℃
  • 맑음남원12.3℃
  • 맑음장수8.8℃
  • 맑음고창군11.8℃
  • 맑음영광군13.2℃
  • 구름많음김해시16.3℃
  • 맑음순창군11.1℃
  • 맑음북창원16.3℃
  • 맑음양산시17.2℃
  • 맑음보성군14.2℃
  • 맑음강진군13.3℃
  • 맑음장흥12.0℃
  • 맑음해남13.1℃
  • 맑음고흥12.5℃
  • 맑음의령군13.7℃
  • 맑음함양군10.8℃
  • 맑음광양시15.1℃
  • 맑음진도군12.8℃
  • 맑음봉화13.8℃
  • 맑음영주14.7℃
  • 구름조금문경12.1℃
  • 구름조금청송군13.5℃
  • 구름조금영덕13.8℃
  • 구름조금의성14.3℃
  • 구름조금구미15.7℃
  • 구름많음영천15.2℃
  • 구름많음경주시15.9℃
  • 맑음거창11.2℃
  • 맑음합천13.7℃
  • 맑음밀양15.9℃
  • 맑음산청12.4℃
  • 맑음거제15.6℃
  • 맑음남해15.8℃
  • 맑음15.8℃
한국로슈,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 국내 허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약바이오

한국로슈,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 국내 허가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RMS) 및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PMS) 두 유형 모두에서 허가 받은 최초의 치료제...연 2회 투여로 다양한 유형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 치료 혜택 제공

  • 기사입력 2024.05.17 08:14

(이미지) 오크레부스 제품 사진.jpg

한국로슈(대표이사 에잣 아젬)는 자사의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OCREVUS, 성분명: 오크렐리주맙)이 지난 5월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 받았다고 밝혔다.

 

오크레부스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신경계 장애를 유발하는 탈수초(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인 수초가 탈락하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 세포인 CD20 발현 B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하는 기전의 재조합 인간화 단클론 항체이다.

 

주로 20-40세 사이에 젋은 연령층에서 호발하는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 신경계의 염증을 유발해, 시력 저하·이동성·인지·방광·성 기능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완화와 재발 등 질환 양상에 따라 재발형 및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등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재발과 진행에 따라  장애가 축적돼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발성 경화증의 주요 치료 목표는 고효능 약제(high-efficacy disease-modifying therapies)를 조기에 사용하여 질병 활성을 억제하고, 환자의 장애 진행 속도를 지연하는 것이다.

 

오크레부스는 다발성 경화증에 허가 받은 고효능 약제로, 이번 승인을 통해 임상적 독립증후군,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및 활성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한 ▲성인의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RMS, Relapsing Forms of Multiple Sclerosis)의 치료 및 ▲성인의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PMS,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투여는 초기 2회(첫 투여 시 300mg, 2주 후 300mg) 이후 6개월마다 1회(600mg)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

 

특히 오크레부스는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허가를 받아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은 최초 발병 후 완화와 재발의 반복 없이 점진적으로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유형 중 가장 높은 장애 발생률을 보여 그동안 효과적인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았다.

 

이번 오크레부스의 허가는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및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에서 오크레부스의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OPERA I & II  연구및 ORATORIO 연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조군 대비 유의한 재발률 감소 및 MRI상 질병활성도를 나타내는 뇌병변의 감소를 확인했다.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OPERA I & II  글로벌 3상 임상 연구에서 오크레부스는 대조군 대비 연간 재발률(ARR, Annualized Relapse Rate)을 절반 가까이 감소 시켰다(46% 및 47% 감소, p<0.0001 및 p<0.0001). OPERA I 임상에서 오크레부스 96주간 투여군의 연간 재발률(ARR)은 0.156, 대조군(인터페론 베타-1a 투여군)은 0.292였으며, OPERA II 임상에서 오크레부스 96주간 투여군의 연간 재발률(ARR)은 0.155, 대조군(인터페론 베타-1a 투여군)은 0.290 였다.

 

또한 두 연구의 통합분석 결과, 12주 동안 대조군 대비 장애의 진행(CDP, Confirmed Disability Progression) 위험을 40% 감소시켰으며(p=0.0006), 이러한 결과는 24주까지 동일하게 나타났다(p=0.0025). 이 밖에도 MRI 스캔 당 병변의 평균 개수를 유의하게 감소 시키며(94%, 95% 상대감소, p<0.0001 및 p<0.0001) 대조군 대비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다.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ORATORIO 글로벌 3상 임상 연구에서 오크레부스는 12주 동안 대조군 대비 장애의 진행(CDP) 위험을 24% 감소시켰다(30.2% vs. 34.0%, p=0.0321). 또한 MRI 상 T2 뇌병변 총 부피는 기저치로부터 오크레부스 투여군에서 평균 3.4% 감소한 반면, 위약군에서는 평균 7.4% 증가(p<0.0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료 120주차의 T25FW(Timed 25-Foot Walk) 평가를 통해 보행시간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기저치 대비 보행시간이 오크레부스 투여군에서 위약군 대비 29.4% 감소했다(p=0.0404).

 

모든 3상 임상 연구에서 오크레부스와 관련된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은 주입 관련 반응(IRR)과 상기도 감염이었으며, 중증도는 대부분 경증 내지 중등도였다.

 

이 외에도 오크레부스는 2023년 OPERA I & II와 ORATORIO의 오픈라벨 연장 연구 3건에 대한 10년 후속 분석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해당 데이터에 따르면, 오크레부스로 10년간 지속 치료받은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 중 77%는 장애의 축적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92%는 보행 보조 기구의 도움없이 독립적인 보행이 가능했다. 또한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 36%가 장애의 축적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80%가 보행 보조 기구의 도움없이 보행이 가능했다. 10년 간 오크레부스 투여군에서 새롭거나 예상치 못한 이상 반응은 발견되지 않았고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다.

한국로슈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클러스터 신수희 리드는 “이번 오크레부스의 허가로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그동안 마땅한 치료 옵션이 없었던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도 새롭게 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오크레부스는 다수의 글로벌 임상 연구 및 10년 장기간 데이터를 통해 질병 활성 억제 및 장애 진행 위험 감소 등에 있어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국내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질병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좋은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오크레부스는 처음으로 재발형 및 일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두 유형 모두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한 치료제로서 지난 2016년 미국 FDA로부터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지정받은 바 있다. 현재 미국, 유럽, 중동, 아시아 지역에 걸쳐 전세계적으로 100개국 이상에서 30만 명 이상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에게 치료 혜택을 제공해오고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