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7.4℃
  • 구름조금25.4℃
  • 맑음철원24.4℃
  • 구름조금동두천24.8℃
  • 맑음파주25.3℃
  • 구름많음대관령11.8℃
  • 구름조금춘천25.5℃
  • 맑음백령도18.0℃
  • 흐림북강릉15.2℃
  • 흐림강릉15.9℃
  • 흐림동해16.8℃
  • 구름조금서울24.8℃
  • 맑음인천22.0℃
  • 구름조금원주24.8℃
  • 구름많음울릉도19.0℃
  • 맑음수원23.0℃
  • 구름많음영월21.5℃
  • 맑음충주24.4℃
  • 맑음서산22.9℃
  • 흐림울진16.5℃
  • 맑음청주24.7℃
  • 맑음대전24.9℃
  • 맑음추풍령22.7℃
  • 구름조금안동25.4℃
  • 구름조금상주25.8℃
  • 구름많음포항19.8℃
  • 맑음군산22.0℃
  • 구름조금대구26.1℃
  • 구름조금전주24.0℃
  • 구름많음울산20.9℃
  • 구름많음창원26.8℃
  • 맑음광주24.4℃
  • 구름조금부산24.1℃
  • 구름조금통영24.4℃
  • 맑음목포21.1℃
  • 구름많음여수25.6℃
  • 맑음흑산도19.8℃
  • 구름조금완도24.4℃
  • 맑음고창22.8℃
  • 맑음순천22.8℃
  • 맑음홍성(예)23.5℃
  • 맑음23.1℃
  • 맑음제주22.4℃
  • 맑음고산18.3℃
  • 맑음성산22.3℃
  • 맑음서귀포24.2℃
  • 구름조금진주26.9℃
  • 맑음강화22.1℃
  • 맑음양평25.1℃
  • 구름조금이천25.1℃
  • 구름많음인제19.5℃
  • 맑음홍천25.2℃
  • 흐림태백13.5℃
  • 구름많음정선군20.9℃
  • 구름많음제천23.4℃
  • 맑음보은23.5℃
  • 맑음천안23.7℃
  • 맑음보령23.9℃
  • 맑음부여25.4℃
  • 맑음금산24.3℃
  • 맑음23.9℃
  • 맑음부안22.3℃
  • 맑음임실23.5℃
  • 맑음정읍23.4℃
  • 구름조금남원23.9℃
  • 구름조금장수22.3℃
  • 맑음고창군24.0℃
  • 맑음영광군22.0℃
  • 구름많음김해시25.4℃
  • 맑음순창군23.5℃
  • 구름많음북창원27.4℃
  • 구름많음양산시24.9℃
  • 구름조금보성군25.6℃
  • 구름조금강진군24.7℃
  • 구름조금장흥24.4℃
  • 구름조금해남23.0℃
  • 구름조금고흥26.3℃
  • 구름많음의령군26.6℃
  • 구름조금함양군26.0℃
  • 맑음광양시26.1℃
  • 구름조금진도군21.8℃
  • 구름많음봉화18.8℃
  • 구름많음영주23.7℃
  • 구름많음문경23.3℃
  • 구름많음청송군24.1℃
  • 흐림영덕17.3℃
  • 구름많음의성26.2℃
  • 구름조금구미25.5℃
  • 구름많음영천23.4℃
  • 구름많음경주시23.4℃
  • 구름조금거창24.4℃
  • 구름많음합천27.0℃
  • 구름많음밀양26.4℃
  • 구름조금산청25.9℃
  • 구름많음거제23.2℃
  • 구름조금남해25.6℃
  • 구름많음25.0℃
한국MSD ‘키트루다®’,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1차 치료에서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약바이오

한국MSD ‘키트루다®’,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1차 치료에서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키트루다, 위암에 이어 치료 옵션 제한적이던 담도암 1차 치료에서도 적응증 확대

  • 기사입력 2024.04.16 09:45

[한국MSD] 키트루다 제품사진.jpg


세계적인 바이오 제약기업 MSD(‘Merck & Co., Inc., Rahway, NJ, USA’의 상호)의 한국지사인 한국MSD는(대표이사 김 알버트) 자사의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4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환자의 1차 치료로서 젬시타빈 및 시스플라틴과의 병용요법으로 적응증 확대를 승인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유독 아시아권에서 발병률이 높은 담도암은, 특히 전 세계적으로 한국에서의 사망률이 가장 높고, 발병률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담도는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흘러가는 장기로, 담즙은 소화 기능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기에 별 다른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매우 어려운 데다 주변 장기나 림프절로 전이가 잘 되기 때문에, 증상 발현 후 진단 시에는 이미 질병이 상당히 진행돼 있는 경우가 많다.

 

원격 전이 시 담도암의 5년 생존율은 3.2%에 불과한데, 이는 예후가 나쁜 것으로 잘 알려진 췌장암(2.6%) 등과 유사한 수준이다. 담도암 치료 시 수술을 시도할 수 있지만, 근치적 절제가 가능한 환자는 40~50% 정도에 불과하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고려하는데, 국내에는 지금까지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의 한계로 의료 현장의 미충족 수요가 큰 상황이었다.

 

키트루다는 이번 적응증 확대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던 전이성 담도암 환자들에게 1차 치료부터 생존기간 개선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적응증 승인은 다양한 국가에서 18세 이상 환자 1,069명을 대상으로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 병용요법군과 대조군인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을 비교 평가한 KEYNOTE-966 임상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중앙 추적 관찰 기간 25.6개월(21.7-30.4) 시점에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은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 대비 사망 위험을 17%(HR=0.83 [95% CI 0.72-0.95]; 단측검정 시 p=0.0034)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전체 생존기간(이하OS, Overall Survival) 중앙값은 12.7개월(95% CI 11.5-13.6)로,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의 10.9개월(9.9-11.6) 대비 유의미한 OS 개선을 확인하며 1차 유효성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추정된 1년 전체생존율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52%(95% CI 47–56)로,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의 44%(40–48) 대비 우수했다. 추정된 2년 전체생존율 또한 각각 키트루다 병용요법군 25%(95% CI 21–29),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 18%(15–22)로 확인돼,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지속적인 생존율 개선을 확인하며 2년 이상 장기생존 가능성을 보였다.

 

13.6개월(9.7-18.4) 시점에서 무진행 생존기간(이하 PFS, Progression Free Survival) 중앙값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6.5개월(95% CI 5.7-6.9),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에서 5.6개월(5.1-6.6) 개월로 확인됐다. 추정된 6개월 무진행생존율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52% (95% CI 48–57),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에서 46% (42–50)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1년 무진행생존율은 각각 25% (21–30), 20% (16–24)이었다. (HR 0·86 [95% CI 0.75–1.00]; p=0·023)

 

또한, 2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반응 지속 기간(이하 DoR, Duration of Response) 중앙값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9.7개월 (95% CI 6.9-12.2),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에서 6.9개월(5.7-8.2)로 나타나,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 치료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됐다.

 

임상 연구에서 새로운 안전성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 3~4등급의 치료 관련 이상반응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70%,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군의 69%에서 발생했다. 키트루다 병용요법 투여 환자의 7%와 항암화학요법 단독요법 투여 환자의 4%에서 3~4등급의 면역 매개 이상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임상적 유효성을 바탕으로,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가이드라인에서는 키트루다 병용요법을 진행성 또는 절제 불가능한 담도암 1차 치료 시 선호요법(Category 1)으로 권고하고 있다.

 

KEYNOTE-966 임상 연구에 참여한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는 “담도암은 전 세계에서 한국의 발병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암종이며, 원격 전이 단계에서는 5년 생존율이 3%를 겨우 넘을 정도로 치명적”이라며, “키트루다는 KEYNOTE-966임상 연구를 통해 유의미한 생존기간 개선을 확인했고, 실제로 키트루다 병용요법을 투여받은 환자의 4분의 1이 2년간 생존하는 등 유의미한 치료 혜택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작년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된 탐색적 환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키트루다 병용요법은 치료 기간 동안 항암화학요법과 비교해 환자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담도암 환자들에게 삶의 질 유지와 생존기간 연장 가능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 치료 옵션이 생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국MSD 항암제사업부 이민희 전무는“이번 키트루다의 적응증 확대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던 국내 전이성 담도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선택지를 제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기존 폐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변화를 이끈 키트루다가 위암, 담도암 등 소화기암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더 많은 암 환자들에게 빠르게 키트루다의 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